2025/08 2

액스 (THE AX) 도널드 웨스트레이크 지음, 최필원 옮김

박찬욱 감독의 의 원작이 라서 밀리의 서재에서 읽어본 책.(2024년 12월에 읽었는데 9월초에는 안되더니 다시 밀리의 서재에서 읽을 수 있다.)박찬욱 감독의 추천사.“제목을 글자 그대로 이해하면 곤란합니다. 는 도끼 들고 법석 떠는 무식스러운 소설이 절대 아닙니다. 물론 연쇄살인 이야기긴 하지만요. 여기, 살인의 쾌락이나 복수의 성취감 따위는 없습니다. 직장에서 해고될 때 ‘도끼질 당했다’고 하는 영어 표현에서 나온 제목이라고 합니다. 어떤 이론서보다 자본주의 체제에성의 노동자의 처지를 정확하게 묘사한 이 소설을 무릇 월급쟁이라면 다 읽어야 한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나도 이것을 각색해서 영화로 만들고 한국 개봉명을 하며 어떨까 생각 중입니다. 우리도 ‘모가지 날아갔다’라고 말하니까요. 손날로 목을 ..

2025.08.18

<회복탄력성> 김주환 지음

“나 자신과의 관계가 건강해야 다른 사람과의 관계도 건강해지고, 그래야 긍정적 정서가 유발되며, 그래야 회복탄력성이 생겨난다. 진정한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타인의 인정이나 칭찬으로부터 완벽하게 자유로워져야 한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은 스스로의 실수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지닌 사람들이다. 그들의 뇌는 습관적으로 보다 더 과감하고 도전적이어서 늘 새로움을 추구한다. 자신의 실수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하되,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회복탄력성이 높은 긍정적인 뇌의 특징이다. - , 김주환 지음 - 밀리의 서재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94c1877f5f24630"반면에 낙관적이고 긍정적인 사람은 높은 수준의 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을 지니기 마련이며 따..

2025.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