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의 즐거움(수잔 와이즈 바우어, 이욱진 옮김, 민음사)

시도니 2025. 3. 22. 14:40

“ 청소년에서 성인 독자까지 고전 독서를 시작하는 이들 위한 가장 완벽한 지침서”라는 이 책은 다 읽겠다는 생각보다는 그때그때 봐야지 하면서 안 보던 책이었다. 읽기 시작하니 이 목록들을 알라딘에서 찾아서 장바구니에 넣는  재미가 쏠쏠하다. 없으면 없는 대로 언제 읽을지 몰라도 목록들을 보면 이 책들 다 사야지 하는 생각에 기분이 좋다. 나는 출판계의 빛과 소금이 되는 사람이니깐..

수잔 와이즈 바우어(Susan Wise Bauer)
1968년 버지나아에서 태어나 초.중.고 과정을 대부분 홈스쿨링으로 이수했다. 문학과 언어 부문에서 미국 최고의 대학 중 하나이며 미 대통령을 여럿 배출한 윌리엄 앤드 메리 대학에 대통령 전액 장학생으로 조기 입학했다. 다중전공으로 영문학과 미국 종교사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모교에서 영문학 교수로 재직했다. 라틴어, 히브리어, 그리스아, 아랍어, 프랑스어 등을 구사하며 다방면의 장서를 넓고 깊게 읽는 다독가이자 자신의 지식을 쉽고 직설적인 문체로 풀어쓰는 저술가로, <교양 있는 우리 아이를 위한 세계 역사 이야기>, <서양 과학 이야기>, <세계 역사 이야기> 시리즈 등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출간했으며 균형감 있는 역사 저술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고전 교육을 다루는 이 책에서 저자는 다른 분야와 달리 독서만은 제도권 내의 교육으로 완성할 수 없는, 스스로 훈련해 나가야 하는 영역임을 강조한다.

독서 노트
1) 독서 일기용으로 노트 한 권을 마련한다. 낱장을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는 노트든 백지 노트든 상관없다.
2) 일주일에 네 차례 독서 계획을 세운 후 꾸준히 지키고, 간략한 요약문을 작성한다. 그런 후

  • 노트 첫 장에 장 제목을 쓴다. 쉬지 말고 한 장 전체를 통독한다. 인상적인 특정 생각이나 어구, 문장이 있으면 지제 없이 메모한다.
  • 각 부분을 자신의 언어로 요약해 본다. 그리고 자문해 본다. 글쓴이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무엇일까? 이부분에서 오직 한 가지만 기억할 수 있다면 무엇이 될까? 내가 기억하고 싶어 하는 중요한 점에 대해 글쓴이가 달리 내게 말해 주는 것은 무엇인가? 각 부분을 하나의 문단으로 요약한 후, 요약한 문단 양옆에 6~9센티미터가량의 아주 넓은 여백을 남겨 둔다.
  • 나머지 장에도 같은 방법을 적용한 후 요약한 문단을 앞에서부터 훝어본다. 그리고 각각의 요약문 가운데 정보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적는다. 이때 노트의 여백을 활용한다.(다른 색상의 펜이 편리하다.)

소설 읽기의 즐거움

  • <돈키호테> 미겔 데 세르반테스
  • <천로역정> 존 버니언
  • <걸리버 여행기>조너선 스위프트
  • <오만과 편견> 제인 오스틴
  • <올리버 트위스트> 찰스 디킨스
  • <제인 에어> 샬럿 브론테
  • <주홍 글자> 너새니얼 호손
  • <모비 딕> 허먼 멜빌
  • <톰 아저씨의 오두막> 해리엇 비처 스토
  • <마담 보바리> 귀스타브 프로베르
  • <죄와 벌>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 <안나 카레리나>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 <귀향> 토마스 하디
  • <여인의 초상> 헨리 제임스
  • <허클베리 핀의 모험> 마크 트웨인
  • <붉은 무공 훈장> 스티븐 크레인
  • <암흑의 핵심> 조셉 콘래드
  • <환락의 집> 이디스 위튼
  • <위대한 개츠비> F.스콧 피츠제럴드
  • <댈러웨이 부인> 버지니아 울프
  • <소송> 프란츠 카프카
  • <토박이> 리처드 라이트
  • <이방인> 알베르 카뮈
  • <1984> 조지 오웰
  • <보이지 않는 인간 > 랠프 엘리슨
  • <오늘을 잡아라> 솔 벨로
  • <백년의 고독>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 <어느 겨울밤 한 여행자가> 이탈로 칼비노
  • <솔로몬의 노래> 토니 모리슨
  • <화이트 노이즈> 돈 드릴로
  • <소유> A.S. 바이어트
  • <로드> 코맥 매카시


자서전 읽기의 즐거움

  • <고백록> 아우구스티누스
  • <마저리 켐프의 책> 마저리 켐프
  • <수상록> 미셸 드 몽테뉴
  • <아빌라 성녀 테레사의 고독한 인생> 아빌라의 테레사
  • <성찰> 르네 데카르트
  • <죄인에게 넘치는 은혜> 존 버니언
  • <감금과 회복 이야기> 메리 롤런드슨
  • <고백론> 장 자크 루소
  • <프랭클린 자서전> 벤저민 프랭클린
  •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인생과 시대> 프레더릭 더글러스
  • <월든> 헨리 데이비드 소로
  • <어느 노에 소녀의 인생 삽화> 해리엇 제이콥스
  • <노예제를 떨치고> 부커 T. 워싱턴
  • <이 사람을 보라> 프리드리히 니체
  • <나의 투쟁 > 아돌프 히틀러
  • <간디 자서전> 마하트마 간디
  • <앨리스 B. 토클라스의 자서전> 거트루드 스타인
  • <칠층산> 토머스 머튼
  • <기쁜에 놀라서> C.S. 루이스
  • <맬컴 엑스의 자서전> 맬컴 엑스
  • <새장에 갇힌 새가 왜 노래하는지 나는 아네> 마야 안젤루
  • <고독의 일기> 메이 사턴
  • <수용소 군도> 알렌소드르 L. 솔제니친
  • <거듭나다> 찰스 W. 콜슨
  • <기억의 허기> 리처드 로드리게스
  • <쿠레인에서 오는 길> 질 커 콘웨이
  • <모든 강은 바다로 흐른다> 앨리 위젤


역사서 읽기의 즐거움

  • <역사> 헤로도토스
  •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투키디네스
  • <국가 정체> 플라톤
  • <영웅전> 플루타르코스
  • <신국론> 아우구스티누스
  • <영국인 교회사> 비드
  • <군주론> 니콜로 마키아벨리
  • <유토피아> 토머스 모어 경
  • <통치론> 존 로크
  • <영국사> 데이비드 흄
  • <사회계약론> 장 자크 루소
  • <상식> 토머스 페인
  • <로마 제국 쇠망사> 에드워드 기번
  • <여권의 옹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 <미국의 민주주의> 알렉시스 드 토크빌
  • <공산당 선언> 카를 마르크스, 프리디리히 엥겔스
  • <이탈리아 르네상의 문화>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 <흑인 민중의 영혼> W.E.B. 듀보이스
  • <프로텐스탄트 윤리의 자본주의 정신> 막스 베버
  • <빅토리아 여왕> 리턴 스트레이치
  • <위건 부두로 가는 길> 조지 오웰
  • <뉴잉글랜드 정신> 페리 밀러
  • <129년 대공황.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
  • <지상 최대의 작전> 코넬리어스 라이언
  • <여성의 신비> 베티 프리딘
  • <요단강이여, 흘러라> 유진D. 제노비즈
  • <먼 거울> 바버라 투치맨
  • <대통령의 측근들> 밥 우드워드, 칼 번스타인
  • < 자유의 함성> 제임스 M. 맥퍼슨
  • <어느 산파 이야기> 로렐 대처 얼리치
  • <역사의 종언과 최후의 인간> 프렌시스 후쿠야마


희곡 읽기의 즐거움

  • <아가멤논> 아이스킬로스
  • <오이디푸스 왕> 소포클레스 
  • <메데이아> 에우리피데스
  • <새> 아이스토파네스
  • <시학> 아리스토텔레스
  • <만인> 14세기
  • <포스터스 박사> 크리스토퍼 말로
  • <리처드 3세> 윌리엄 세익스피어
  • <한여름 밤의 꿈> 윌리엄 세익스피어
  • <햄릿> 윌리엄 세익스피어
  • <타르튀프> 몰리에를
  • <세상의 이치> 윌리엄 콩그리브
  • <지는 것이 이기는 것> 올리버 골드스미스
  • <스캔들 학교> 리처드 브린즐리 세리든
  • <인형의 집> 헨리크 입센
  • <진지해지는 것의 중요성> 오스카 와일드
  • <벚꽃 동산> 안톤 체호프
  • <성녀 조앤> 조지 버나드 쇼
  • <대성당의 살인> T.S. 엘리엇
  • <우리 읍내> 손턴 와일더
  • <밤으로의 긴 여로> 유진 오닐
  • <닫힌 방> 장 폴 사르트르
  •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테네시 윌리엄스
  • <세일즈맨의 죽음> 아서 밀러
  • <고도를 기다리며> 사뮈엘 베케트
  • <사계절의 사나이> 로버트 볼트
  •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톰 스토파드
  • <에쿠우스> 피터 셰이퍼


시 읽기의 즐거움

  • <길가메시 대서사시>
  • <일리아드 오디세이아> 호메로스
  • 그리스 서정시인들
  • <송시> 호라티우스
  • <베오울프>
  • <신곡 지옥편> 단테 알리기에리
  • <기웨인 경과 녹색의 기사>
  • <켄터베리 이야기> 제프리 초스
  • <소네트> 윌리엄 세익스피어
  • 존 던
  • <성경-시편> 킹 제임스
  • <실낙원> 존 밀턴
  • <순수의 노래 경험의 노래> 윌리엄 블레이크
  • 윌리엄 워즈워스
  • 새뮤얼 테링러 콜리지
  • 존 키츠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 앨프리드 테니슨 경
  • 월트 휘트먼
  • 에밀리 디킨슨
  • 크리스티나 로세티
  • 제라드 맨리 홉킨스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폴 로렌스 던바
  • 로버트 프로스트
  • 칼 샌드버그
  •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 에즈라 파운드
  •   T.S. 엘리엇
  • 랭스턴 휴스 
  • W.H. 오든

과학서 읽기의 즐거움

  • <공기, 물, 장소에 관하여> 히포크라테스
  • <물리학> 아리스토텔레스
  •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쿠크레티우스
  • <새로운 도구> 프랜시스 베이컨
  • <대화: 천동설과 지동설, 두 체계에 관하여> 갈릴레오 갈릴레이
  • <작은 도면들> 로버트훅
  • <프린키피아의 규칠들과 일반 주해> 아이작 뉴턴
  • <예비 담론> 조르주 퀴비에
  • <지질학 원리>찰스 라이엘
  • <종의 기원> 찰스 다윈
  • <식물의 잡종에 관한 실험> 그레고어 멘델
  • <대륙과 해양의 기원> 알프레드 베게너
  • <상대성의 특수 이론과 일반 이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양자 이론의 기원과 전개> 막스 플랑크
  • <진화 : 현대적 통합> 줄리언 헉슬리
  • <생명이란 무엇인가> 에르빈 슈뢰딩거
  • <침묵의 봄> 레이첼 카슨
  • <털 없는 원숭이> 데즈먼드 모리스
  • <이중나선> 제임스 D. 왓슨
  • <이기적 유전자> 리처드 도킨스
  • <최초의 3분> 스티븐 도킨스
  • <인간 본성에 대하여> E.O. 윌슨
  • <가이아> 제임스 러브록
  • <인간에 대한 오해> 스티븐 제이 굴드
  • <카오스> 제임스 글릭
  • <시간의 역사> 스티븐 호킹
  • <티렉스와 종말의 분화구> 월터 앨버레즈